etc.16 [Ventoy] 여러 OS를 담을 수 있는 멀티 부팅 디스크 만들기 흔히 사용하는 Rufus 등의 프로그램으로 부팅 디스크를 만들면 하나의 USB에 하나의 운영체제(OS)만 담을 수 있다. 그래서 윈도우 설치용 USB, 우분투 설치용 USB 각각 별도로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나의 OS를 담는데 필요한 용량에 비해 요즘 USB 드라이브 용량은 훨씬 크다 보니 남는 용량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남는 용량에 다른 OS 설치를 위한 파일도 담아서 활용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 방법을 찾았다. 이번 글에서는 하나의 USB에 여러 OS를 담아 멀티 부팅 디스크를 만드는 Ventoy라는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본다. [목차] 다운로드 부팅 디스크 제작 Ventoy 디스크로 멀티 부팅 [다운로드] [참고] Ventoy 공식 웹 사이트(www.ventoy.net)의 다운로.. 2023. 4. 10. [LattePanda Alpha] 라떼판다 알파 언박싱 Single Board Computer 라떼판다 알파 언박싱 기록 - 목차 -패키징구성품본체부팅안테나 연결스펙핀맵 [패키징]옆 면에 스펙과 패키지 구성품, 연락처 등이 적혀있다. [구성품]구성품은 본체 지지대 5개, 안테나 2개, 사용자 매뉴얼, 로고 스티커 2장, 본체, 전원 어댑터, 110v 케이블, 220v 케이블. [본체] [부팅]전원을 연결한 후 보드 한쪽 귀퉁이 전원 표시등 LED에 빨간불이 점멸하다가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기다린다. (안 기다려도 부팅이 되긴 하지만 매뉴얼대로 기다리는 것을 권장) 전원 표시등에 빨간불이 꺼지면 파란불이 5초에 한 번씩 깜박인다. 이것이 부팅 준비가 됐다는 신호.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부팅한다. 부팅이 시작되어 컴퓨터가 켜져 있는 동안 파란불이 켜진 채로 유.. 2023. 3. 31. [Windows] 실행 파일이 반응이 없을 때 "호환성 문제 해결" 윈도우 환경에서 간혹 실행 파일이 실행되지 않고 아무런 반응이 없거나 반응이 상당히 느린 경우가 있습니다. 더블 클릭, 엔터 키를 난사해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 호환성 문제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행 파일이 반응이 없을 때 시도해 볼 만한 아주 간단한 "호환성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실행 파일 우클릭 후 "호환성 문제 해결(Y)" 클릭 반응이 없는 실행 파일을 우클릭하여 나오는 메뉴들 중 "호환성 문제 해결(Y)" 메뉴를 클릭하면 "프로그램 호환성 문제 해결사"가 실행됩니다. 그러면 스스로 문제 검색 후 아래와 같이 옵션 선택 메뉴가 나옵니다. 2. "권장 설정 시도" 클릭 "권장 설정 시도"를 클릭하면 문제 검색 후 나온 적당한 .. 2023. 1. 24. Remote Repository 에 변경 내용 Push 하기 이전 글에서 Local의 Working Directory에 "test.txt" 파일 생성 후 Local Repository에 commit했었음 2022.07.06 - [Git] - Local Repository 생성 github의 해당 Remote Repository - Code 탭에 setup 코드들 외에 파일이 표시되지 않고 있음. (아직 Push한 파일이 없음. 즉, test.txt는 아직 remote repository에 push되지 않음) Working Directory에서 Push 명령어로 Local과 Remote Repository 동기화 git push origin master push 결과가 출력됨. * push 결과 대신 에러 메세지가 나오는 경우 혹시 이런 에러 문구가 나타난다면 pu.. 2022. 7. 9. Remote Repository 생성 및 Local 연동 github Repository 생성 github 로그인 후 홈페이지에서 [New] 버튼 클릭 "Repository name" 및 옵션 설정 후 [Create repository] 버튼 클릭 Local Repository 와 연동하기 계정 메뉴에서 [Settings] 클릭 좌측 하단 [ Developer settings] 메뉴 클릭 [Personal access tokens] 클릭 [Generate new token] 클릭 "Note" 에 용도에 관한 메모를 남기고, "Expiration"에서 유효 기간 설정, "Select scopes"에서 각 옵션값 설정 (자신이 직접 사용하는 경우, Full control이 필요하므로 repo를 꼭 선택하자) 마지막으로 [Generate token] 버튼 클릭.. 2022. 7. 9. Local Repository 생성 및 파일 commit Working Directory 생성 Working Directory로 사용할 폴더를 만든 후 터미널에서 해당 폴더 위치로 이동. git init 해당 폴더에서 Git 을 초기화하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폴더를 Git 이 관리하기 시작. Local Repository 가 생성됨. git init .git 확인 해당 폴더에서 숨긴 항목 표시를 하면 [.git] 이라는 숨겨진 폴더가 생성되어 있음. .git 으로 이동해서 파일을 살펴보면 Git 관련 파일들이 생성되어 있음. git status Working Directory에 [test.txt] 파일을 생성하고 `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여 Git 에 존재하는 파일 확인. git status Git Add Working Directory 에서 .. 2022. 7. 6. Git Global Configuration Local PC에서 기본값으로 사용할 Git 사용자 이름과 E-mail 설정 Global Username & Email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CRLF 줄바꿈 문자 설정 Line ending (줄바꿈 문자) - Windows : CR (\r) + LF (\n) - Unix or Mac : LF (\n) Windows 사용자와 Mac 사용자가 같은 Git Repository 를 작업할 때 코드에서 변경된 내용이 없어도 CRLF 차이로 인해 commit 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설정을 통해 통일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음. CRLF - Windows Windows 환경으로 가져올 때는 LF 를 CRLF 로 변경하고 Github .. 2022. 7. 5. 이전 1 2 다음